일본 중식당에서 파는 마파두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10-24 09:25

본문

통화종료자동문자 일본 중식당에서 파는 마파두부. 화자오가 듬뿍 들어 있어서 얼얼한 맛이다. /에노모토 야스타카“매운 걸 좋아하는 일본인은 무슨 음식을 먹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사실 전통적인 일식에는 매운 요리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매운맛을 즐기는 일본인은 일식이 아니라 마파두부, 탄탄면, 카레, 순두부찌개 같은 외국 요리를 즐겨 먹는다. 그래서 매운 걸 좋아하는 한국 친구에게 “일본에서 마파두부나 탄탄면을 먹어 보라”고 권한 적이 있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지 않았다. 물론 매워서 못 먹은 건 아니었다.일반적으로 일본인은 한국인보다 매운맛에 약하다. 그래서 일본인이 잘 먹는 매운 요리라면 한국인도 무난히 먹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일본에서 파는 마파두부나 탄탄면은 한국보다 화자오(중국 향신료)를 훨씬 많이 넣는다. 얼얼하고 혀가 저린 ‘마(麻)’의 감각이 강하다 보니, 고춧가루에 익숙한 한국인에겐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최근엔 한국에서도 마라탕 열풍이 불며 화자오의 맛을 즐기는 이가 늘었지만, 그렇다고 해도 일본식 매운 요리는 생각보다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일본에는 얼얼한 맛이나 독특한 향신료에 익숙한 사람이 많다. 예로부터 초피 가루를 장어 요리나 각종 음식에 뿌려 먹어왔기 때문이다. 일본 식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미료인 ‘시치미 도가라시(七味唐辛子)’도 같은 맥락이다. 고춧가루에 초피나 자소엽 등 향이 강한 재료를 섞어 써 매운맛을 완화하고 풍미를 더한다.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표현의 차이다. 일본에서는 얼얼한 맛인 ‘마(麻)’도 고춧가루의 매운맛인 ‘라(辣)’도 모두 ‘맵다(辛い·가라이)’고 표현한다. 원래 매운 요리가 없었던 탓인지, 매운맛을 세분해 표현하는 어휘가 부족하다. 한국인이 ‘칼칼하다’ ‘얼얼하다’ ‘얼큰하다’ 같은 다양한 단어를 쓰는 것과 대조적이다.한국인이 일본에서 매운 음식을 맛볼 때는, 낯선 향신료가 주는 문화적 차이를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일본에서 마파두부나 탄탄면 같은 요리를 주문할 땐 ‘마(麻)’와 ‘라(辣)’의 단계를 따로 조절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마라탕을 즐겨일본 중식당에서 파는 마파두부. 화자오가 듬뿍 들어 있어서 얼얼한 맛이다. /에노모토 야스타카“매운 걸 좋아하는 일본인은 무슨 음식을 먹나요?”라는 질문을 자주 받는다. 사실 전통적인 일식에는 매운 요리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매운맛을 즐기는 일본인은 일식이 아니라 마파두부, 탄탄면, 카레, 순두부찌개 같은 외국 요리를 즐겨 먹는다. 그래서 매운 걸 좋아하는 한국 친구에게 “일본에서 마파두부나 탄탄면을 먹어 보라”고 권한 적이 있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지 않았다. 물론 매워서 못 먹은 건 아니었다.일반적으로 일본인은 한국인보다 매운맛에 약하다. 그래서 일본인이 잘 먹는 매운 요리라면 한국인도 무난히 먹을 수 있으리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일본에서 파는 마파두부나 탄탄면은 한국보다 화자오(중국 향신료)를 훨씬 많이 넣는다. 얼얼하고 혀가 저린 ‘마(麻)’의 감각이 강하다 보니, 고춧가루에 익숙한 한국인에겐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최근엔 한국에서도 마라탕 열풍이 불며 화자오의 맛을 즐기는 이가 늘었지만, 그렇다고 해도 일본식 매운 요리는 생각보다 부담스러울 수 있다. 일본에는 얼얼한 맛이나 독특한 향신료에 익숙한 사람이 많다. 예로부터 초피 가루를 장어 요리나 각종 음식에 뿌려 먹어왔기 때문이다. 일본 식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조미료인 ‘시치미 도가라시(七味唐辛子)’도 같은 맥락이다. 고춧가루에 초피나 자소엽 등 향이 강한 재료를 섞어 써 매운맛을 완화하고 풍미를 더한다.또 하나 흥미로운 점은 표현의 차이다. 일본에서는 얼얼한 맛인 ‘마(麻)’도 고춧가루의 매운맛인 ‘라(辣)’도 모두 ‘맵다(辛い·가라이)’고 표현한다. 원래 매운 요리가 없었던 탓인지, 매운맛을 세분해 표현하는 어휘가 부족하다. 한국인이 ‘칼칼하다’ ‘얼얼하다’ ‘얼큰하다’ 같은 다양한 단어를 쓰는 것과 대조적이다.한국인이 일본에서 매운 음식을 맛볼 때는, 낯선 향신료가 주는 문화적 차이를 염두에 두는 것이 좋다. 일본에서 마파두부나 탄탄면 같은 요리를 주문할 땐 ‘마(麻)’와 ‘라(辣)’의 단계를 따로 조절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 마라탕을 즐겨 먹었다 하더라도, 일본에선 처음부터 높은 단계에 도전하기보다 보통 단계에서 시작하는 편이 안전하다. 통화종료자동문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49,656건 1 페이지

검색